아기 머리 모양때문에 걱정이신가요?
아이를 출산하기 전 엄마들은 수많은 걱정거리 앞에 놓이게 됩니다. 모유수유 방법에서부터 아기 기저귀 가는 법, 목욕 시키는 법 등등 신경 써야 할 일이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그리고 초보 엄마 그리고 초보 아빠라면 또 하나의 걱정거리가 생기게 되는데 그게 바로 ‘아기 두상’ 문제입니다. 아이 머리는 생후 3~4개월 사이에 자리잡게 되는데, 이때 두상 비대칭이 심하거나 한쪽으로만 눕는다면 단두증 또는 사두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부모님들은 육안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전문의 진단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증상이 악화되면 안면비대칭 및 척추측만증 같은 질환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우리 아기 예쁘고 건강한 동그란 두상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까요?
갓 태어난 아이에게서 흔하게 발견되는 질환중 하나이며, 태아 때 좁은 자궁 안에서 웅크리고 있으면서 뒷머리나 옆머리 부위가 눌린 채로 성장했기 때문인데 보통 생후 3개월 이후부터는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 그러나 3개월 이후에도 이 눌린부분이 돌아오지 않고, 두상에 이상이 있을시에는 '단두증'과 '사두증'을 의심해봐야합니다.
이름조차 생소한 '단두증'과 '사두증' 인데요 간단하게 아기두상의 모양의변형 또는 비대칭으로 변형된 상태를 말합니다.
먼저 단두증은 앞뒤 길이가 짧은 형태이고 사두증은 좌우 대칭이 맞지 않는 현상을 가리키고있습니다. 둘 다 선천적 요인보다는 후천적 영향 탓에 발생하는데 주로 잘못된 자세습관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합니다. 가령 엎드려 자거나 옆으로 누워 자는 습관이 지속될 경우 압력이 가해지면서 뼈가 변형되고 심하면 뇌 발달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모라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병원에서의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할수 있습니다.
단, 이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간혹 소아과나 산부인과에서 무료로 측정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가능하다면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이나 전문병원을 방문하길 추천하며, 필자의 경우에는 2곳 이상의 병.의원에 방문하여 측정해보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우리아이의 문제이니 만큼 더욱더 정확하게 진단하는것이 좋으니 말입니다.
검사 후 이상이 없다면 집에서 셀프 교정을 해주면 됩니다. 우선 평평한 바닥에 눕힌 다음 고개를 좌우로 돌려가며 수시로
바꿔주고 더불어 짱구베개를 사용하면 좋은데 지나치게 푹신한 소재보다는 약간 단단한 느낌의 메모리폼 재질이 적당하며, 더불어 하루 15분 정도 꾸준히 마사지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반드시 목 뒤쪽 움푹 들어간 지점(아문혈)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위로 올려주어야합니다. 단, 머리의 변형 및 비대칭부분은 제외해야합니다. 또한,
아문혈 주변 근육을 세게 문지르면 자칫 멍울이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검사 후 이상이 발견된다면, 병원에서 두상 헬멧을 착용을 권장할수 있습니다. 100만원 내외로 비싼 가격대를 자랑하고, 제작기간 2주가 소요되기 떄문에 망설이는 부모들이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효과가 좋고 우리아이의 두상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쁘게 만들어주기떄문에 결국은 아이를 위한 선택을 많이 하게되는데요. 다만 하루 18시간 이상 꾸준히 착용해야 하고 최소 6개월 동안 지속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두상헬멧의 경우에는 전문가의견으로는 100일 이전에 착용하면 좀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수있다고합니다. 고민하시는 분들은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조금더 합리적인 가격대의 상품들이 출시되거나, 이후 대체할수있는 제품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신생아의 단두증 및 사두증 과 그에따른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우리아이가 더욱더 이쁘고 건강하게 잘자랐으면 하는 부모의 마음가짐이 더욱 커져가고있는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하루되시고 즐거운 연말 되세요.
'특별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정보 신생아 원더윅스란 무엇인가? (0) | 2022.12.26 |
---|---|
신생아 딤플 원인 증상 대처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3 |
신생아의 역류와 예방방법에 대해서알아보자 (0) | 2022.12.21 |
베이비브레짜 자동분유기 추천및소독방법 (2) | 2022.12.19 |
홈 CCTV - 헤이홈 산후조리원 필수템 강추 (0)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