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흔들린 아이증후군이란 말 아시나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훨씬 작은 체구를 가지고 있어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합니다, 그리고 성인처럼 뼈나 근육이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체손상도 훨씬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만 2세 이하의 영유야 사망원인 중 뇌질환 및 선천성 기형과 같은 질병 외에도 추락사고 또는 교통사고 같은 사고사 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이러한 사고 발생 시 주의해야 할 증상으로는 '흔들린 아이증후군'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흔들림아이증후군' 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흔들림 아이증후군이란?

 

'흔들림 아이증후군'(shaken baby syndrome, SBS) 아직 머리와 목부분 등 신체적으로 완전하지 않은 상태의 아이가 머리가 흔들림으로써 경막하혈종, 망막출혈 등을 일으켜 발작 및 사망에 이르는 매우 위험한 증후군입니다. 이러한 증후군으로 인해서 미국에서는 매년 2천 명 정도의 아기가 흔들림 아이증후군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지난 5년간 병원 응급실을 찾은 환자 수만 무려 1만여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주로 생후 6개월에서 2세 많게는 4세 사이까지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는데 남자아이보다는 여자아이에게서 더 많은 비율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발병원인추측으로는 심한 흔들림이 있는 추락사고, 교통사고, 장기간 차량운전, 낙상사고 또는, 부모나 양육자에게 폭행을 당했을 경우가 원인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흔들림 아이증후군의 다른 말로 하면, 학대성 두 개관내 출혈(abusive head trauma, AHT)로 불리고 있습니다. 흔들림 아이의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구토, 경련, 어지럼증, 이유없는 보채기, 발열, 잠을못자는 등 의 증상을 보이기떄문에, 아이가 머리쪽으로 강하게 부딪쳤다면, 당장 바로 가까운 병원이나 응급실로가서 처치를 받는것이 좋으며, 72시간 내에 치료받는것이 예후가 좋다고 하니 참고바랍니다. 이렇듯 흔들림아이 증후군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예방방법은 없을까요?

 

 

흔들림 아이증후군예방법은 뭘까?

 

미국  소아청소년과에서 생후 6개월 이하의 아기 30명을 관찰하던 중 이상한 점을 발견하게 되는데요 울고 있던 아기를 달래려고 엄마가 앞뒤로 가벽게 흔든 후 아이들이 조용해지는 현상이 목격되고, 이 같은 상황을 계속해서 반복 관찰하게 됩니다. 그러자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들의 상태가 점차 악화되었고 급기야 사망까지 이르는 사례가 속출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가 있듯 ' 흔들림 아이증후군'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아이를 달래거나, 케어할 때에는 과도하게 흔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아이를 하늘높이 던지지 말아야 합니다.

3. 유모차나 카시트에 태울 때 목을 잘 받쳐주고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합니다.

4. 아이가 자고 있을 때, 격하게 흔들어서 깨우는 행위는 절대로 해서는 안됩니다.

5. 목을 가누지 못하는 영아의 경우, 목을 충분히 지지한 상태에서 천천히 올리셔야 합니다.

6. 영아가 잠을 잘 때에는 엎드린 자세 대신 똑바로 눕혀서 재우는 게 바람직합니다.

 

이렇게 총 6가지의 예방법을 소개드립니다. 이외에도 여러분들의 많은 노하우들을 같이 사용하신다면, 더욱더 우리 아이를 소중하고 사랑스럽게 케어하실 수 있을 겁니다.

 

 

아동학대

 

미국에서는 매년 1,000건 이상의 아동학대 사례가 신고된다고 합니다. 이중 약 60% 정도가 가정 내 폭력 및  학대라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닌데요.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아동학대 의심신고 건수는 총 3만 4,169건으로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하루 평균 80건꼴로 학대로 인한 사망 사건이 발생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가해자 대다수가 부모라는 사실이지요. 물론 일부 몰지각한 부모 탓이긴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 또한 영향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육아 부담이 고스란히 조부모나 친척에게로 전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양육으로 인한 불화  또는 체력 저하 등으로 제대로 보살피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영유아 안전사고 위험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심지어 목숨까지 잃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아이들이 더욱더 안전하고, 사랑받으며 살 수 있도록  대책의 마련이 있으면 좋겠다는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

 

 

 


오늘은 이렇게 '흔들림 아이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 또한 흔들림아이증후군을 저의 아내에게 듣고 포스팅을 하기로 결심했는데요. 저또한 이러한 증후군을 들어본 것이 처음이라 매우 당황스럽고, 지금까지 내가 나의 아이를 안을 때 어떻게 안았는지, 머리를 너무 흔들지 않았는지 걱정이 되고 후회도 되고 있네요..ㅠㅠ 이제라도 알았으니 지금부터라도 우리 아이를 케어를 할 때에 또한 각별하게 신경 써서 케어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이제 곧 명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_^ //

 

 

 

 

신생아 목가누는 시기는 어떻게 될까?

우리 아이는 언제쯤 목을 가누고, 뒤집기를 할까요? 갓 태어난 아기는 머리크기가 성인의 약 1/3 정도 밖에 되지 않을 만큼 작아요. 몸무게 또한 3kg 내외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키는 50cm 전후, 체중

kyokyoday.tistory.com

 

 

우리아이의 대천문 소천문은 뭘까요?

사랑스러운 우리 아이들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만큼 너무 예쁘고 소중합니다. 이렇게 이쁘고 소중한 만큼 우리 엄마와 아빠는 우리 아이에 대해서 아는 것이 많다면 우리 아이를 더욱더 건

kyokyoday.tistory.com

 

 

 

 

 

 

 

 

+ Recent posts